J Med Life Sci > Volume 20(1); 2023 > Article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실천 사례: 8개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Abstract

Medical schools realize their social accountability in cultivating future doctors as decision-makers of medical care in the future society as an axis of society and carrying out communication, research, and medical service (medical care). This study summarized the social accountability status of eight medical schools in Korea,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activities, and program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e data from the self-evaluation research reports of eight medical schools were classified and organized according to education, research, and medical care services. The medical schools offer related subjects,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and clinical practice, allowing active participation in local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Community health information research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cal natural environment in which the medical school is located and the frequency of diseases. Medical schools and hospitals collaborated to conduct domestic and foreign health education volunteer activities. Social accountability must be prioritized,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medical schools’ functions and roles in a high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Both doctors’ medical capacity and competence to actively participate in developing medical care and health policies for the community should be strengthened.

서 론

사회를 이루고 있는 것은 개인 외에도 개인이 소속된 가족, 사회, 국가 등이 있다. 대학도 자신의 사회적 가치와 필요성을 스스로 입증해야 하는 사회적 구성단위 중 하나이다[1]. 대학이 사회 속에서 함께 공존하는 이상, 사회가 요구하는 것들을 충족시켜야 하는 공적기관으로서의 책임이 있다. 이를 우리는 일반적으로 대학의 사회적 책무성이라고 한다. 즉 대학의 사회적 책무성은 대학이 국가 사회의 일부로서 교육・연구・봉사 등 그 본질적인 기능을 통하여 사회에 일정한 책임을 지는 것을 의미한다[2].
의과대학 역시 교육, 연구, 봉사 활동을 통하여 사회적 책무성을 실천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건의료 문제와 건강불평등의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과대학은 사회의 요구를 충족하는 역량있는 의사를 양성하고, 관련 이해관계자와의 유기적인 관계를 맺음으로써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켜야 하고, 그것이 사회적 책무성이 필요한 핵심 근거이다[3,4].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에 대하여 1995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의과대학이 기여해야 할 지역사회, 지역, 그리고/또는 국가의 보건의료 요구의 우선순위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 연구 및 서비스 활동을 이에 집중할 의무이다. 보건의료 요구의 우선순위는 정부, 보건의료 기관, 보건 전문가 및 대중이 공동으로 확인해야 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5]. 또한 2010년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에 관한 세계적 합의(Global Consensus on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를 개최하여 “사회의 현재 및 미래의 건강 요구와 도전에 대응해야 하고, 이에 맞추어 교육, 연구,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조정해야 하며, 다른 이해관계자와 거버넌스 및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성과 및 영향을 사정하기 위해 평가와 인증을 활용해야 한다”고[6] 제시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책무성을 실현하기 위해 의과대학은 급변하는 사회적 변화와 요구 등을 파악하고 교육, 연구, 봉사를 통해 사회적 책무성을 수행해 나가야 한다.
국외에서는 교육분야의 경우,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프로그램이나 관련 교과목을 운영하고[7], 연구분야는 지역의 유전질환 치료법 연구 등을 수행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하며[8] 봉사분야에서는 지역사회의 건강증진을 위해 지역사회의 의료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해 나가려는 시도[9] 등을 통해 사회적 책무성을 실천하고 있다.
사회적 책무성 역량을 갖춘 의사로 성장할 수 있는 데 필요한 기본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하는 국내 의과대학들도 대학의 상황과 지역적 여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노력들을 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나라 의과대학이 수행하고 있는 사회적 책무성 현황을 조사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고등교육분야의 질적 향상과 대학의 사회적 책무성을 높이고자 고등교육기관의 평가인증을 도입하였다[2]. 의과대학도 의학교육평가인증을 통해 사회적 책무성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학교육평가인증 보고서의 내용을 근거로 국내 의과대학이 수행하고 있는 사회적 책무성 현황과 사회적 책무성 활동의 특징을 분석하여 사회적 책무성을 실천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 사회문화적 맥락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8년도까지 의학교육평가인증을 받은 전국 40개 의과대학에 연구의 목적과 연구 도중일지라도 참여를 원하지 않을 경우 언제든지 참여를 거부할 수 있음을 사전에 충분히 설명한 후 연구 동의를 받았다.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본 연구에 동의한 8개 의과대학의 자체평가연구보고서를 수집하여 정성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서울 2개 대학, 충남 2개 대학, 전북 1개 대학, 경남 2개 대학, 제주 1개 대학 총 8개 의과대학을 대상으로 자체평가연구보고서 내용을 교육, 연구, 봉사 대분류에 따라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결 과

의학교육평가인증을 받기 위해 작성된 8개 의과대학의 자체평가연구보고서 내용 중 사회적 책무성과 관련된 기준의 내용을 근거로 교육, 연구, 진료 영역으로 구분하여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1).

1. 교육분야

의과대학은 국가와 지역사회의 보건 및 의료 문제를 파악하고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적극 참여하도록 관련 교과목, 사회봉사 활동, 임상실습 등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책무성을 교육하는 교과목의 명칭은 각 대학마다 차이가 있지만 ‘의사와 사회’, ‘환자의사사회’, ‘지역사회의학교육 이론 및 실습’, ‘역학’, ‘의료관리학’, ‘의료법’, ‘인문사회의학’, ‘의료면담’ 등을 개설하여 교육하고 있었다. 과목명은 다소 차이는 있으나 의료인문학적 성격의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8개 의과대학들은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시기는 다르지만 변화하는 지역의료 상황 및 환자와 사회에 대한 관점 등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임상실습 교육과정 중에는 대학병원 이외에 보건소나 1차, 2차 지역의료기관 실습, 연구소, 법원 등의 다양한 지역사회기관에 나가 실습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 의사의 역할에 대하여 고찰할 수 있는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다(Table 1).

2. 연구

8개 의과대학들은 의과대학이 위치한 지역적인 자연 환경과 다빈도 질병의 차이 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건강조사, 환경보건센터, 국민건강증진센터 등을 통한 지역사회건강정보 연구를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의과대학에서 직접 수행되는 것보다 부속병원에서 수행되는 질환센터 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J 의과대학의 경우, 지역 특성상 알레르기 환자가 많아 환경부 지정 환경보건센터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아토피 피부염 등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예방과 조기 발견 및 지속 관리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었다. 또 비만, 흡연, 음주가 타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지역 의과대학은 만성 질환 조기 발견 및 지속 관리를 통한 건강증진과 중증 합병증 예방을 위해 연구하고 있으며, 메르스 사태 등 감염병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감염병에 대한 감시 체계를 강화하고 있었다. Y 의과대학의 경우,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인터넷 중독에 대한 치료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사회적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 문제들을 연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3. 봉사(진료)

의과대학은 병원과 연계하여 국내외 봉사활동과 일반인을 위한 건강 강좌를 실시하고, 낙후된 지역이나 다른 나라의 의료 수준 향상을 위한 봉사를 진행하고 있었다. 또한 외부 보건 관련 기관의 사업-의과대학-의과대학 부속병원이 연계한 진료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보건의료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하고 있었다. 국내외 의료 관련 봉사활동은 교수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진료를 지원하는 봉사활동을 하고 있었다(Table 3).

고 찰

우리나라 의과대학은 교육자원, 인적자원 등에 활용하여 ‘한국의 의사상’에서 제시한 사회적 책무성을 갖출 수 있는 의사를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즉 의과대학은 지역사회의 건강 및 보건 유지, 보건의료 정책 결정 참여 및 미래 대응, 재난 구호 및 국제 협력 등의 역량을 갖춘 의사를 양성하기 위해 많은 교육적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10]. 본 연구는 의과대학생들이 사회적 책무성을 함양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그동안 해 온 의과대학들의 노력을 교육, 연구, 봉사분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향후 사회적 책무성을 깊이 성찰하고 실행할 수 있는 교육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교육분야는 기본의학 교육과정에서 사회와 환자 등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갖도록 인문학적 소양을 함양하고, 지역사회의 보건복지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10]. 성과바탕 교육을 토대로 8개 대학은 설립 이념과 교육목적, 졸업 성과에 사회적 책무성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방법으로 교육하고 있었다. 하지만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중요성에 비해 의료인문학이나 사회학 과목에 치중된 교육이 많으므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부분에서는 미흡한 경향이 나타났다. 또 의사의 사회적 역량에 대한 조사에 의하면 환자, 사회(언론)와의 의사소통 능력, 법률과 제도의 이해, 인간과 사회의 이해 등에 대하여 중요도 평가는 높으나 교육 만족도는 평균 이하로 보고됨에 따라 이러한 분야에 대한 교육적인 강화가 필요할 것이다[11]. 이는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다양한 개념으로 인한 혼란과 교육영역 선정과 교육과 평가 방향 등이 정립되지 못한 상황에서 오는 문제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국내외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개념과 교육영역, 실천방안, 평가 등에 대한 선행 연구[4,12]에 근거하여 지역사회의 상황과 요구를 분석, 계획, 실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13-15], 공공성과 사회계약적 관계 등의 이해[16] 등을 고려하여 교육방향을 설정하고, 체계적인 지역사회기반교육(community-based medical education)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연구분야에서는 지역사회의 질환의 특징과 지역적 차이 등을 고려한 특징적인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국가보건 정책과 관련된 정신건강실태조사, 만성 질환조사, 지역사회 건강조사 등을 지역별로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이는 의과대학 부속병원과 의과대학이 초기에 신설될 때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설립 허가를 받았지만, 교육적 목적의 병원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보다는 교육병원 위주의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지역만의 특징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사회적 책무성을 위해 지역 보건의료 주요 이해관계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활발히 하여 지역성을 고려한 다양한 보건의료 문제와 특징적인 질환의 치료를 위한 노력 등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봉사(진료)분야에서는 의과대학 교수들이 겸직교원으로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근무를 하는 경우가 많아 지역 내의 의료봉사활동과 나아가 세계의 보건의료환경 개선과 국제구호 등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으나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국한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보다 많은 학생들이 다양한 봉사 활동에 동참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료봉사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사회자원봉사를 할 수 있는 의과대학 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다. 일반 사회봉사활동을 장려하여 학생들이 지역사회의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기여할 수 있으며, 봉사의 만족감, 협력, 의사소통 등 의사의 기본이 되는 역량을 갖출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외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정책 수립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보건의료 정책은 국민의 건강증진과 의료복지 등을 뒷받침한다[15]. 이러한 보건 정책 입안과 시행은 의사의 사회적 책임으로써 적극적인 참여로 건강한 우리나라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고도의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대학의 기능과 역할이 지닌 중요성을 고려할 때,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는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사회적 요구인 것만은 분명하다. 지역사회의 보건 문제와 세계의 의료 문제의 현안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무 즉 사회적 책무성은 의과대학생이 일반적으로 갖추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의과대학은 형식적 교육 과정뿐만 아니라 잠재적 교육 과정 속에서 학생들이 사회적 책무성이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가르쳐야 할 책임이 있다. 즉 지역사회 중심교육과 지역사회 기반교육을 보다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사는 단순히 환자만 진료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가 살고 있는 지역과 나라, 더 나아가 세계에 대한 사회적 책무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제 사회적 책무성을 세계 의과대학뿐만 아니라 의료계의 핵심 가치이며, 앞으로 그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것이다[4]. 따라서 의과 대학은 의과대학생이 병원, 지역사회, 보건환경, 보건관련기관 등을 이해하고, 건설적인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사회적 책무성을 실천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able 1.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school (education)
Medical school Education
Subject, grade 1 2 3 4
A Medical ethics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medicine
Medical care
Epidemiology
Patient-society-doctor 1, 2, 3
Clerkship in community medicine
B Humanities and social medicine
Society and health
Clerkship,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erkship, preventive medicine
C Doctor and society 1,2,3,4
Clerkship in community medicine
D Doctor and society 1,2,3,4,5,6,7,8
Evidence based medicine
IPE
Clerkship in community medicine
E Patient-doctor-society 1, 2, 3, 4
Disease prevention & health promotion
Clerkship in community medicine
F Patient-doctor-society 1,2,3,4
Clerkship in community medicine
G Medical humanities 1,2,3,4
Patient interview
Medical law
Medicine and Society1,2,3
Clerkship,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H Medical humanities 3,4,5,6,7
Clerkship in community medicine

IPE: inter professional education.

Table 2.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school (research)
Medical school Research
A Community health survey
B Competence project for developing countries
C Community health survey
D Community health survey
Environment health center
Psychologic health center
Regional infectious disease investigation
E Regional infectious disease investigation
Community health survey
Chronic diseases survey
F Community health survey
Chronic diseases survey
Community health survey
G Community health survey
Chronic diseases survey
Mental health status survey
H Community health survey
Development of dementia prediction and early diagnostic technology
I Community health survey
Chronic diseases survey
Internet addiction treatment
Table 3.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school (medical care)
Medical school Medical care
A Medical professional education
B Medical volunteering for domestic and foreign medically vulnerable areas
Health education for community
C Medical volunteering for domestic and foreign medically vulnerable areas
Health education for community
D Medical volunteering for domestic and foreign medically vulnerable areas
Health education for community
E Medical volunteering for domestic and foreign medically vulnerable areas
Health education for community
F Medical volunteering for domestic and foreign medically vulnerable areas
Health education for community
G Medical volunteering for domestic and foreign medically vulnerable areas
Health education for community
H Medical volunteering for domestic and foreign medically vulnerable areas
Health education for community
I Medical volunteering for domestic and foreign medically vulnerable areas
Health education for community

REFERENCES

1. Cho YH. Social responsibility of universities in the 21st centuryfocus on the discourse upon social engag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10;28:1-30.
2. Shin J, Kim M, Park H. Perceptional differences between government and universities on institutional autonomy.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7;25:243-69.
3. Rourke J. AM last page.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Acad Med 2013;88:430.
pmid
4. Gil YM, Jeon WT.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concept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Korean Med Educ Rev 2019;21:127-36.
crossref pdf
5. Boelen C, Heck JE; World Health Organization; Division of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for Health. Defining and measuring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1995 [cited 2019 May 3]. Available from: https://apps.who.int/iris/handle/10665/59441.
6. Global Consensus for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Global consensus for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Internet]. East London: Global Consensus for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GCSA); c2010 [cited 2019 Jul 29]. Available from: https://healthsocialaccountability.sites.olt.ubc.ca/files/2011/06/11-06-07-GCSA-English-pdf-style.pdf.
7. Talib ZM, Baingana RK, Sagay AS, Van Schalkwyk SC, Mehtsun S, Kiguli-Malwadde E. Investing in community-based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quantity, and retention of physicians in three African countries. Educ Health (Abingdon) 2013;26:109-14.
crossref pmid pmc
8. Merner ND, Hodgkinson KA, Haywood AF, Connors S, French VM, Drenckhahn JD, et al. Arrhythmogenic right ventricular cardiomyopathy type 5 is a fully penetrant, lethal arrhythmic disorder caused by a missense mutation in the TMEM43 gene. Am J Hum Genet 2008;82:809-21.
crossref pmid pmc
9. Talaat W, el-Wazir Y. The El-Tal El-Kebir story: an example of social accountability from Egypt. Med Teach 2012;34:354-60.
crossref pmid
10. Ahn D; Working Group for Project on the Future Global Role of The Doctor in Health Care. Korean doctor’s role. J Korean Med Assoc 2014;57:3-7.
crossref
11. Kim CJ, Kwon I, Han HJ, Heo YJ, Ahn D. Korean doctors’ perception on doctor’s social competency: based on a survey on doctors. J Korean Med Assoc 2014;57:128-36.
crossref
12. Preston R, Larkins S, Taylor J, Judd J. From personal to global: understandings of social accountability from stakeholders at four medical schools. Med Teach 2016;38:987-94.
crossref pmid
13. Reeve C, Woolley T, Ross SJ, Mohammadi L, Halili SB Jr, Cristobal F, et al. The impact of socially-accountabl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Med Teach 2017;39:67-73.
crossref pmid pdf
14. Rourke J. Social accountability: a framework for medical schools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populations they serve. Acad Med 2018;93:1120-4.
crossref pmid
15. Ahn MO. Active participation in health care policy. J Korean Med Assoc 2012;55:208-10.
crossref
16. Ahn D. Medical educa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J Korean Med Assoc 2017;60:654-61.
crossref pdf
TOOLS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0 Scopus
  • 914 View
  • 23 Download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102, Jejudaehak-ro, Jeju-si, Jeju-do 63243, Republic of Korea
Tel: +82-64-754-8023    E-mail: jmls.jeju@gmail.com                

Copyright © 2024 by Jeju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for Medical Scienc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